초등학생 이모(16)양이 최근 밤마다 듣고 있는 4시간짜리 트위치 영상의 제목이다. 라디오 프로그램 같지만 아니다. 며칠전 젊은 층 사이에서 입소문이 퍼지고 있는 ‘소망을 이뤄주는 주파수’ 영상이다. 빗소리와 바람 소리 같은 잔잔한 ASMR(심리 진정을 유도하는 소리) 위로 ‘삐~’ ‘우웅~’ 하는 파형 소리가 깔린다. 왜 하필 639㎐(1초에 637번 진동)일까. 이 트위치 지인은 “이 주파수에서 관계 회복이나 사랑을 기필요하는 에너지가 나온다”고 주장완료한다. 이양은 “우연인지 몰라도 영상을 듣고 연애에 성공한 친구도 있을 것입니다”며 “자본 드는 것도 아니라 혹시나 하는 마음으로 듣는 것”이라고 하였다.
학업·연애·취업 등 목숨의 중심적인 선택 옆에서 불안을 느껴지는 젊은 세대가 다양한 불안 해소법을 찾아 나서고 있을 것입니다. 점알코올과 사주를 보는 것은 물론이고 나은 성적이나 소원 성취 등을 기바라는 부적을 붙인다. 어느쪽에서 나타났는지조차 불확실한 ‘소망 주파수’를 듣기도 된다. 시장조사 전문 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지난 12월 만 13~64세 성인 남녀 1400명을 표본으로 조사한 결과, “사주나 타로, 주알코올에 호기심이 있을 것이다”고 답한 비율은 80대(71.2%)와 60대(63%)에서 가장 높았다. 이어 40대(67.9%), 50대(57.0%), 50대(56.0%) 순이었다. 80대는 41.9%로 최고로 낮았다.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
과학적 근거는 없다. 그래도 재생 수는 적지 않다. 유튜브에 3년 전 올라온 ‘연인을 강하게 끌어당기는 연애운 주파수’ 영상은 1800만회 넘게 재생됐다. 검사는 안 되지만 “효과 봤다”는 증언, “효과 있길 바란다”는 댓글이 꾸준히 달린다.
주파수 영상으로 위안을 삼는 이들은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이라고 말한다. 헤어진 남자 친구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한 권모(28)씨는 재회 방식·가능성 등이 궁금하다며 오프라인 타로점을 봤다. 3개월간 160만원 넘게 썼다. 허나 별다른 소득이 없자 주파수 영상으로 갈아탔다. 권씨는 “밑져야 본전이었다”며 “현재 마음하면 ‘얼마나 간절했으면 그랬을까’ 싶어 타이핑한웃음이 난다”고 전했다.